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도시가스 캐시백

     

    날씨가 추워지고 있어서 도시가스를 많이 사용하는 시점입니다. 요즘 물가 상승으로 인하여 공과금이

     

    많이 나옵니다. 도시가스 캐시백은  12월에서 다음 해 3월까지 사용량 절감 성공시 신청자의 계좌로

     

    현금을 지급해주는 사업입니다.

     

    겨울 난방비로 고민이 많다면 비용절감도하고 현금도 받을 수 있는 도시가스캐시백 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1.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

     

   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
   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

     

    1)온라인 신청

     

    도시가스캐시백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

    회원 가입 후 로그인하고, 캐시백 신청 배너를 클릭합니다.

    필요한 정보를 입력하고 신청서를 제출하면 완료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2)오프라인 신청

     


    인터넷 사용이 어려운 경우 가까운 도시가스 공급사 고객센터나 주민센터에 방문해 신청할 수 

     

    있습니다. 이때, 주민등록증 등 신분증과 최근 도시가스 요금 고지서를 지참하세요.

     

     

    2. 신청 대상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는 누구나 참여 가능(취사용 제외)

     


    단, 아래에 해당하는 경우 캐시백 지급대상에서 제외됩니다.


    ※ 절감기간 : `24.12월 ~ `25.3월, 비교기간 : `23.12월 ~ `24.3월


    ① 전출 • 전입, 명의변경 등으로 인하여 도시가스사 또는 고객식별번호가 변경되어 

     

    절감기간 및 비교기간의 전체 사용량 조회가 불가능한 경우


    ② 주택난방용 이외에 타용도 요금제(산업용, 업무난방용 등) 사용자


    ③ 신청자(회원가입자)와 계약자 명의가 다르나 계약자 정보제공동의서를 미제출한 사용자


    ④ 도시가스사 또는 고객식별번호를 오기입하여 사용량 조회가 불가능한 경우


    ⑤ 중앙난방에서 개별난방으로 전환하여 절감기간 및 비교기간 중 각 세대별 사용량 자료가 없는 경우


    ⑥ 기타 사유로 절감기간 및 비교기간의 사용량 조회가 불가능한 경우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3. 신청기간 절감기간 비교기간

    도시가스캐시백 신청기간 절감기간 비교기간
    도시가스캐시백 신청기간 절감기간 비교기간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1) 신청기간

     

    2024년 12월 1일 ~ 2025년 3월 31일(4개월)

     

    * 23:30 ~ 00:30분은 은행 점검 시간으로 해당 시간을 피하여 신청해주시기 바랍니다.

     


    2) 절감기간

     

    2024. 12월 ~ 2025. 3월 (2025. 1월 ~ 2025. 4월 고지서 발행분)

     

     

    3) 비교기간


    2023. 12월 ~ 2024. 3월 (2024.1월 ~ 2024. 4월 고지서 발행분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4. 캐시백 지급액 기준

     

    캐시백 지급액 기준
    캐시백 지급액 기준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
    전년 동기간 대비 3%* 이상 절감 시 절감율별 차등 지급하며, 

     

    절감율이 높을수록 캐시백 지급단가가 높아집니다.

     

    구분 3% 이상 10% 미만 10% 이상 20% 미만 20% 이상 30% 이하
    캐시백 지급단가 50원/㎥ 100원/㎥ 200원/㎥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5. 가스절약 꿀팁

     

     

    1) 실내 적정 난방 온도(18~20℃) 설정하기

    2) 적정 습도(40~60%) 유지하기

    3) 외출시 보일러 "외출모드"로 전환하기

    4) 평상시 수도꼭지 "냉수"쪽으로 돌리기

    5) 보일러 청소의 생활화 및 난방배관 "공기 빼기"

    6) 방한용품 활용하기

    7) 실내 내복, 수면양말 등 보온용품 착용하기 

    8) 보일러 난방 밸브 조정하기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